Blog Archive

2021-05-09

프로젝트 관리와 간트 차트

간트 차트 예시: 영화 제작 프로젝트
간트 차트 예시: 영화 제작 프로젝트 (이미지 출처: Wikimedia Commons)

프로젝트 관리를 하면서 소위 간트 차트(Gantt Chart)가 한 번도 제대로 작동한 것을 본 적이 없다. 20세기 초에 건설 프로젝트처럼 터 닦고, 벽 세우고, 지붕 올리는 순서로 작업들이 종속적이고, 순서가 정해지고 별로 변하지 않는 경우는 어느 정도 소용이 있을지 모르겠다. 그러나 요즘 대부분의 사무직/지식 근로자들이 하는 업무가 어디 그런가?

간트 차트의 시각적인 문제점 중에 하나는, 한 행에 하나의 태스크와 하나의 막대(bar)만 넣을 수 있기 때문에, 사실 엄청나게 많은 공간(가로 시간축으로도, 세로 작업 목록축으로도!)  또는 종이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간트 차트가 원래 의도대로 한 눈에 프로젝트 전체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는 경우는 거의 없다는 것!


일반 사무직들은 아직도 파워포인트로 간트 차트 비슷한 모양을 만들어 보고하는 경우를 많이 봤다. 그런데, 간트 차트의 결정적인 약점(?)을 알아서 잘 보완(?)하는 것을 봤다. 즉, 대충 한 행의 타임라인에 여러 개의 후속 과제 또는 하위 과제 막대를 연속해서 표현해서 오히려 알아보기 쉽게 하는 것이다.

나는 간트 차트로 표현되는 전통적인 프로젝트 관리 방법이 잘 작동하지 않는 이유가 
  1. 내가 일했던 회사들이 한국적인/동양적인 정서가 강해서, 명시적인 프로젝트 일정과 계획의 이면에 암묵적으로 "유연성"에 대한 동의가 있어서인지  [회사/조직 특성]
  2. 아니면, 내가 일했던 업무가 소프트웨어 제작이나, 공학적 개발과 달리, 비교적 손에 잡히도록 구체화하기 힘든 소프트한(?) 업무여서 그런 것인지 매우 궁금하다. [업무 특성]

소위 크리티컬 패스(critical path), 또는 크리티컬 패스 방법론(critical path method)을 정교하게 적용해서 프로젝트 일정을 예측한다는 것도, 사실 프로젝트 초기에 디자인 단계에서 하는 대부분의 어림치나 추측(guessing)이 맞다는 가정 하에 작동하는 것이지만, 그것도 현실적으로 그런 경우는 거의 보지 못했다.

어디 현실에서 하나의 작업이 깔끔하게 끝나서 다시 뒤돌아볼 필요 없이 다음 작업이 시작되는 경우가 얼마나 있는가? 계속 반복하고, 검증하고, 돌아가고, 피드백 받고, 보완하고, 그것에 따라 다음 작업이 바뀌고, 건너뛰고, 목표가 바뀌고, 예측하지 못한 혁신도 일어나고, 돌발 사고도 생기기 마련인데... 과연 간트 차트가 그런 것들을 관리하기 위한 효과적인 도구일까?

간트 차트를 쉽게 생성해준다는 Wrike의 광고를 보고 문득 든 생각이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